산업 story

글로벌 LNG 상류(Upstream) 시장 이해 ② : 호주 - 자원 천국 호주의 LNG 시장 (Feat. Prelude LNG, Gorgon LNG, Darwin LNG)

보라빛 열매 2022. 5. 13. 12:14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스타벅 입니다.

오늘은 세계 LNG 수출 1,2위를 다투는 호주의 LNG 시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호주의 LNG 시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면 좋습니다. 왜냐하면 카타르와 호주의 LNG 개발 방식은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 카타르와 호주 LNG 개발 방식 차이점과 공통점

카타르는 카타르 가스에 대해서만 조사하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카타르 가스는 국영가스회사입니다. 생산된 천연가스에 대한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되며 생산물 분배계약 (PSC, Production Sharing Contract) 방식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offtake 물량으로 분배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호주는 Concession(라이선스, 임대) 방식으로 생산물의 소유권이 개발자에게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주로 미국과 같은 경제시장이 자유로운 국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방식이죠. 그렇기 때문에 호주의 경우는 특정 국영기업을 세워서 천연가스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기업들이 개발을 했습니다. 반면에 공통점도 있어 보입니다. 액화시설 투자와 관련해서 LNG 탐사와 생산의 소유자는 액화시설과 수출 프로젝트의 소유자와 동일합니다. 카타르 가스도 카타르 가스가 탐사하고 소유하고 SPA 계약까지 체결합니다. 호주도 North West Shelf 도 woodside가 탐사하고 SPA 계약으로 LNG 화물을 수출합니다. 따라서 호주 LNG 시장을 파악하려면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파악을 해야 하는데 다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호주 LNG 프로젝트 현황

호주 LNG 시장은 개별 프로젝트별로 파악을 해야 하는데요 10개의 프로젝트가 현재 운영 중입니다.

North West Shelf 가 가장 오래됐고 큰 프로젝트입니다. 그다음이 Darwin이 오래됐네요. 가장 최근 프로젝트 중에 규모가 큰 프로젝트는 Gorgon 프로젝트입니다. 가장 최근의 프로젝트는 많이 들어본 Prelude FLNG 프로젝트입니다.

호주는 예상되는 프로젝트들이 그렇게 많은 거 같지는 않습니다. 이미 세계 최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췄기 때문도 있을 거 같습니다. 호주는 연간 8천만 톤 이상의 수출능력을 갖추고 있고 8천만 톤 가까이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 호주 LNG 프로젝트별 현황 -

1. North West Shelf

호주에서 가장 큰 자원 프로젝트입니다. 원유와 가스를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젝트입니다(대부분 가스). 생산 플랫폼은 offshore, 프로세싱과 액화시설은 onshore에 있습니다.

1980년대 초 250억 달러(30조 원)가 투자된 호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자원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NWS 프로젝트는 BHP, BP, Chevron, Shell, Woodside Petroleum 그리고 Mitsubishi, Mitsui JV의 6개 회사가 합자회사로 소유하고 있습니다. 30조 원짜리 투자 프로젝트니깐 파트너들이 많을 거 같긴 합니다. Woodside는 다른 파트너들을 대표하는 프로젝트 오퍼레이터입니다.

offshore 플랫폼 자산은 North Rankin A, Goodwyn A, Cossack Pioneer FPSO가 있습니다. FPSO에서는 원유를 생산합니다. 이 offshore 플랫폼에서 시추된 가스와 원유는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onshore 시설로 이송됩니다. LNG 생산은 Karratha gas plant에 있는 5개의 LNG 트레인에서 생산이 됩니다.

2. Gorgon LNG 프로젝트

Gorgon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큰 LNG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단일 자원 프로젝트로는 호주에서 가장 큰 프로젝트입니다. Chevron Australia가 오퍼레이터를 맡고 있으며 Chevron(47.3%), ExxonMobil(25%), Shell(25%), Osaka Gas(1.25%), Tokyo Gas(1%), JERA(0.417%)가 JV로 투자하였습니다. 액화 플랜트는 Barrow Island라는 섬에 위치해 있으며 3개의 액화 트레인이 운영 중인데 연간 약 520만 톤의 LNG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18개의 시추 well 있으며 예상 매장량은 2054~2074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양입니다.

Gorgon LNG 프로젝트 요약 (출처.chevron)

3. APLNG (Australia Pacific LNG)

APLNG는 ConocoPhillips(47.5%), Origin Energy(27.5%), Sinopec(25%)의 투자로 세워진 합자회사 프로젝트입니다. APLNG는 동호주에서 가장 큰 onshore 천연가스 생산자이며 약 30%의 동호주 도시가스 점유율을 갖고 있습니다. Origin Energy는 APLNG의 가스 필드, 업 스트림 탐사, 생산, 파이프라인을 담당하고 ConocoPhillips는 다운스트림 LNG 수출시설과 LNG 수출 계약을 담당합니다. 2개의 액화 트레인을 운영 중이며 각각은 연간 450만 톤의 LNG를 생산할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APLNG는 두 개의 수출 offtake 계약이 있는데 JV 참여자인 Sinopec이 연간 760만 톤, Kansai Electirc이 연간 100만 톤을 20년 동안 가져가는 계약입니다.

4. Ichthys LNG 프로젝트

먼저 INPEX라는 회사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INPEX(International Petroleum Exploration, IPXHY)는 국제석유개발제석이라는 일본 회사입니다. 1966년에 설립됐구요 일본에서 가장 큰 석유, 가스 탐사, 생산 회사입니다.

Ichthys 프로젝트는 2018년 가동을 시작한 offshore 프로젝트입니다. 투자비는 약 200억 불(25조 원)입니다. 연간 890만 톤의 LNG와 160만 톤의 LPG를 생산합니다. 시추 프로젝트 위치는 서호주 해안으로부터 220km 떨어진 곳입니다. 매장량은 약 40년 정도입니다. Ichthys는 INPEX(66.245%), Total(26%), CPC Corporation Taiwan(2.625%), Tokyo Gas(1.575%), Osaka Gas(1.2%), Kansai Electirc Power(1.2%), JERA(0.735%), Toho Gas(0.42%)가 JV로 참여한 프로젝트입니다.

Ichthys LNG 프로젝트는 50개의 해저 well에서 가스를 뽑아낸 후 FPSO에서 프로세싱을 거칩니다. LNG 액화 플랜트는 2개를 운영 중인데 Darwin 근처에 있는 Bladin Point에 있는 액화 플랜트까지 890km나 되는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가스가 전송됩니다.

Ichthys Explorer라는 CPF는 gas filed 근처에 정박해서 이니셜 프로세싱을 진행하며 원유 condensate를 추출하고 불순물을 가스로부터 제거합니다. 추출된 condensate gas는 FPSO로 보내지거나 파이프라인을 통해 Darwin LNG 터미널로 보내집니다.

Ichthys Venturer라는 FPSO 선박은 CPF로부터 3.5km 떨어진 곳에서 CPF로부터 받은 condensate에서 가스를 분리하고 프로세싱,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onshore 시설에서는 천연가스에서 condensate 와 LPG를 분리합니다.

Ichthys는 Tokoy Electric Power와 연간 105만 톤, Tokyo Gas와 연간 105만 톤 Kansai Electric Power와 연간 80만 톤, Osaka Gas와 연간 80만 톤, Kyushu Electric Power와 연간 30만 톤, Total 과 연간 90만 톤, INPEX와 연간 90만 톤, CPC Corportation 과 연간 175만 톤, Chubu Electric 와 연간 49만 톤, Toho Gas와 연간 28만 톤의 SPA를 체결했는데요 모두 지분 참여자들의 offtake 물량입니다. 일본 전력회사들이 총 생산량의 약 70%를 수입해 갑니다.

5. GLNG 프로젝트

GLNG를 알려면 Santos라는 회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Santos (주식 STO) 하면 브라질 산토스가 생각나는데요 Santos는 1954년도에 세워진 호주의 도시가스 사업자입니다. 현재는 아시아 지역의 LNG 공급 사업도 하고 있지요.

GLNG는 2개의 액화 트레인에서 각각 연간 390만 톤 총 780만 톤의 LNG를 생산할 능력을 갖췄습니다. 총 투자비용은 약 160억 불(19조 원)이며 Santos(30%), Total(27.5%), Petronas(27.5%), KOGAS(15%)의 지분투자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입니다. KOGAS와 연간 350만 톤의 20년 계약이, Petrona와 연간 350만 톤 20년의 offtake 계약이 있습니다.

5. Prelude LNG

Prelude LNG는 다른 호주 프로젝트들과 가장 큰 차이는 FLNG 프로젝트라는 점입니다. FLNG는 바다에 떠있는 시추선+액화플랜트입니다. Prelude는 Browse Basin에 위치해있으며 해 저 깊이는 약 250미터 정도이고 서호주 연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참여자들은 Shell(67.5%), INPEX(17.5%), KOGAS(10%),CPC(5%)입니다. Prelude FLNG는 연간 약 360만 톤의 LNG와 130만 톤의 condensate, 40만 톤의 LPG를 생산할 능력을 갖췄습니다. Prelude는 약 110억~120억 달러(13~14조 원)의 건조비용이 들었다고 합니다. 예상 사용연수는 약 25년이라고 합니다. Prelude는 2019년에 첫 선적을 시작했는데요 아쉽게도 2020년 2월 전기 문제로 셧다운 됐었습니다. 또한 2021년 12월에는 작은 화재로 인한 전기 공급 문제로 다시 가동이 중단됐었습니다.

7. Darwin LNG 프로젝트

Darwin LNG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이유는 조금 복잡한 프로젝트이고 변화가 많았던 프로젝트인 거 같아서입니다. Darwin LNG(DLNG)는 offshore 와 액화플랜트를 구별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Darwin LNG와 연결되어 있는 offshore는 Bayu-Undan과 Barrosa field입니다. Bayu-Undan은 Santos가 오퍼레이팅하고 있으며 Darwin 액화 트레인까지는 약 502km 떨어져 있습니다. Darwin LNG는 1개의 액화 트레인만이 있으며 연간 약 370만 톤의 LNG 생산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Barrosa offshore는 Darwin에서 약 300km 떨어져 있으며 Bayu-Undan offshore의 생산량이 떨어질 때 대체할 gas field입니다. life extension project 개념입니다.

Darwin LNG 프로젝트는 중간에 대체 gas field 도 추가로 개발되다 보니 지분의 비중이 바뀌었습니다. 우리나라의 SK E&S가 많이 투자했습니다. Barrosa 프로젝트는 36억 불, Darwin LNG 액화설비 18억 불, Bayu-Undan 프로젝트 2억 3천만 불 총 56억 불(약 7조 원)이 들어갔습니다. 가장 최근에는 Santos, SK E&S, JERA만이 탐사와 액화 모두 투자를 한 상태입니다.

호주 LNG 수출 현황

일본, 중국 위주의 호주 LNG 수출시장

자료를 조사하면서 계속 느낀 점은 호주 LNG 프로젝트의 지분투자자를 보면 Santos라는 호주 국내 가스회사가 주도하고 있고 하나는 INPEX, 일본 가스/전력 회사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당연히 offtake 물량이 많겠죠.

호주 LNG 수출 국가 현황 그래프를 보면 일본이 거의 3,500만 톤의 LNG를 가져가니깐 40% 가까이 일본으로 수출을 하고 중국도 비슷한 양의 LNG를 호주로부터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철광석, 석탄 등 호주의 다른 주요 수출 원자재의 수입국과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이 운송비 때문인지는 조금 더 생각해 봐야 할 문제 같습니다.

호주 gas field 현황

자원 부국 호주의 가스와 원유 field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잠깐 가기 전에 gas 용어부터 좀 살펴보겠습니다.

 

conventional gas : 원유와 함께 존재하는 가스

unconventional gas : 셰일가스나 가스하이드레이트(tight gas)

associated gas : 유전(oil field)에서 원유(Crude oil) 채굴 시 부산물로 딸려 나오는 가스

non-associated gas (gas field) : 원유가 없는 순수 가스전에서 나오는 가스

아래 호주의 gas 개발 지도를 보면 서쪽, 북쪽, 동쪽에 가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conventional gas field에서는 천연가스와 함께 원유도 함께 나올 수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아직 호주에서는 셰일가스의 개발은 큰 비중은 없어 보입니다.

끝.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