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타벅 입니다.
오늘은 이웃나라 일본의 에너지 수입과 의존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Economic Times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썼네요.
잘 아시다시피 일본은 압도적으로 화석연료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러시아산 원유와 LNG 수입 보이콧 때문에 복잡한 상황에 처해있죠.

일본의 에너지 믹스와 LNG의 중요성
일본은 대부분의 주요한 에너지 수요를 원유로부터 얻고 있으며 원유 수입의 90% 이상은 중동산입니다. LNG는 전체 에너지믹스에서 24%가량 차지합니다.
하지만 LNG를 전기 생산을 위한 발전 부분만 놓고 보면 36%로 비중이 증가합니다. 이런 LNG 의존도는 2011년 이후로 계속 증가합니다. 바로 일본 후쿠시마 대지진 이후 원자력 발전 시설들이 가동을 중단하거나 쓰나미로 파괴되면서이죠.
일본의 LNG 사용과 수입국

2021년 중국에 LNG 수입국 1위 자리를 빼앗기기 전까지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를 수입하는 국가였고 전체 물동량의 22%나 됐습니다. 수입된 LNG는 대부분 전기 생산을 위해 쓰였지만 난방과 가정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호주는 일본 수입량의 36%를 차지하는 최대 공급 국가였고 말레이시아가 14% 러시아가 9%, 미국이 9%로 뒤를 이었습니다.
일본이 러시아산 LNG 대체는 가능한가?
러시아산 LNG의 수입 비중이 10%도 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국가로부터 수입처를 대체할 수 있을 수 있지만 모두들 러시아산 LNG를 대체하려고 하기 때문에 LNG 시장 가격이 계속 오를 수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시작되기 전과 비교하면 $3/mmbtu에서 $59까지 치솟았습니다.
일본은 240일치 사용분인 480 Mil barrel의 원유를 비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LNG는 2-3주 사용분밖에 안 되는 재고를 갖고 있습니다. 그것은 일본은 지하 저장 시설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죠. 이것은 유럽도 비슷한 상황이며 기화하는 특성 때문에 장기적인 저장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LNG 부족 상황의 영향은 벌써부터 일본 가정용 전기요금의 상승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문제와 함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압박합니다. 현재까지 일본 중앙은행은 긴축통화정책을 유지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올여름에 일본도 상원 의원 선거가 있기 때문에 이런 에너지 요금의 상승은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더욱 예민한 이슈입니다.
일본의 러시아 LNG 프로젝트 투자
일본의 트레이딩 회사인 미쓰이와 미쯔비시는 러시아의 사할린 2 프로젝트에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미쓰이는 또한 Arctic LNG2 프로젝트에 $21 billion 을 투자했고 2023년부터 생산될 예정입니다.
사할린 1 프로젝트의 일부인 The Sakhalin Oil and Gas Development (SODECO) 컨소시엄은 일본의 이토추와 마루베니 상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본 정부 자체도 수십억 달러를 대출 형식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일본의 원자력 발전 증가는 불가능 한가?

일본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인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문재인 대통령이 퇴임을 2개월 앞두고 갑자기 원자력 발전을 핵심으로 하겠다는 돌발 선언을 하긴 했지만 일본도 원자력을 다시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2014년까지 일본 원자력 발전 생산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습니다. 하지만 현재 원자력발전은 에너지 생산의 3%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20~22%까지 원자력 발전을 증가하려고 합니다.
후쿠시마 지진이 있기 전에 54개의 원자로가 가동 중인 것과 비교하면 현재 6개의 원자로만이 가동 중입니다. 나머지 원자로들은 현재 재가동을 위한 안전 진단과 면허 갱신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LNG 재고의 부족을 만회하기 위한 가장 좋은 옵션은 원자력 발전 증가에 속도를 올리는 것입니다.
정리를 하면 일본에게 LNG는 매우 중요한 에너지 연료 입니다. 호주와 말레이시아로부터 대부분 LNG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유가와 LNG 가격의 상승으로 이런 화석연료에 의존도가 높은 일본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 해결책은 원자력 발전이 현실적인 거 같습니다. 결국 원자력이 답인 가요... 우리나라는 왜 줄였지... 탄소배출이 나쁜지 원자력 누출 위험이 나쁜지 비교해봐야 되는 문제 같네요.
끝.
'산업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LNG 상류(Upstream)시장 이해 ① : 카타르LNG - 세계 최대 LNG 판매자 카타르가스(Qatargas) (0) | 2022.05.13 |
---|---|
LNG 시장의 이해 ② : LNG 운임 시장 - 러시아 사태와 글로벌 LNG 시장 영향 (0) | 2022.05.13 |
LNG도입 가격의 종류와 경쟁력 - 트레이더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 (feat. 원유트레이더, 가스트레이더) (0) | 2022.04.07 |
에너지 시장 이해 기초 : LNG 단위 이해하기 - 단위부터 익숙해져야 하는 에너지 분야 (0) | 2022.04.07 |
유럽 천연가스 시장 이해하기 - 파이프라인 가스 운송 중심의 유럽 - NBP, TTF가 뭔가요? (가상 가스 거래소) (0) | 2022.03.21 |